Untact(비대면)시대, 우리는 어떻게 IT분야 취업을 준비해야 하나요?
코로나 19 이후, 취업 시장에서 가장 큰 변화 중 하나는 Untact 채용과 관련한 채용솔루션을 도입하는 기업이 부쩍 늘었다는 것입니다. 많은 기업들이 AI 채용솔루션을 도입해 입사지원서를 검토하고, 화상면접을 통해 면접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라인플러스, 이스트소프트 등 주요 IT 기업은 서류접수부터 면접 까지 100% 비대면 온라인 전형을 채택했습니다.
이러한 IT분야 Untact 방식의 채용에서 눈에 띄게 증가한 채용 절차는 역시 "온라인 코딩 테스트" 와 "AI 화상면접"입니다.
온라인 코딩 테스트는 누구에게나 공평한 기회를 줄 수 있다는 큰 장점을 갖고 있습니다. 정부가 강조하는 공정한 블라인드 기반 채용에 적합한 채용절차입니다. 실력만 있다면 누구나 도전이 가능하고, 실력을 증명한다면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기업의 입장에서는 최소한의 기술적 역량을 갖춘 지원자를 검토할 수 있기 때문에, 채용과 관련된 소모 비용을 합리적으로 개선 할 수 있습니다. 때문에 앞으로 많은 IT 기업이 "온라인 코딩 테스트"를 도입 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때문에 IT 분야 취업을 준비한다면, 온라인 코딩 테스트에 대한 준비가 필요합니다. 온라인 코딩 테스트는 테스트 결과만을 평가 하는게 아니라 코딩 한 내용을 기반으로 화상 면접이나 실제 면접에서 Code Review를 진행합니다. 때문에 본인이 작성한 코드가 아니라면, 결코 채용과정을 통과 할 수 없습니다.
AI를 활용한 화상면접 역시 눈에 띄게 증가한 채용 절차 중에 하나입니다. 정장을 입고 컴퓨터 앞에서 AI가 내는 역량 질문에 대답을 하기도 하고, 면접관과 화상으로 연결해 화상으로 면접을 진행하기도 합니다. 특히 AI활용 면접의 경우 AI를 활용해 입사지원서를 검토하고, 역량 평가를 진행하며 면접을 진행하기 때문에 채용은 전 과정을 꼼꼼하게 준비해야 합니다. 이력서, 자기소개서와 면접 질문의 대답에서의 일관성 역시 평가의 요소에 들어가기 때문입니다.
채용솔루션을 도입하지 않는 중소기업의 채용이라도 Untact(비대면)와 관련된 이슈는 피하기 힘들 것으로 예상됩니다. 결국 채용과 관련한 사전 절차를 강화하고 대면 면접을 보는 인원을 줄이는 방식으로 접근 할 수 밖에 없다는 것입니다. 이는 채용과정에서 면접의 기회가 줄어 들 수 있음을 의미합니다. 때문에 IT분야의 채용을 준비한다면 서류전형(자격증 취득 / 포트폴리오), 코딩테스트 준비 등에 좀 더 포인트를 맞추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위기는 때로 새로운 기회를 낳기도 합니다. 앞으로도 코로나 19로 인해 많은 어려움이 있을 수 있지만, 슬기롭게 극복하고 우리가 그리는 미래를 함께 그려나갈 수 있는 기회가 되기를 기대해봅니다.
구디부트캠프
상담신청
COMMENT (0)개